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구글애즈광고 실적 최대화 캠페인! 자동화 캠페인으로 매출을 올려보자

by 떠나요 :) 2023. 4. 27.
반응형

홍보팀에 속해있지만 내 주 업무는 기획이기 때문인데 실질적인 광고 대행은 대행사와 협업하여 진행한다.

매체 컨트롤이나 캠페인 운영 등 대행사를 통하면 진행 과정이 편하고 수월할 수 있으나

매체 또는 광고 상품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내부에서 별도로 광고를 진행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상품 소개서를 백번 읽는 것보다 실무 한 번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ㅋㅋ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소액의 예산으로 실험(?) 형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구글 애즈 광고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기 때문에 상시 운영 중인데

얼마 전부터 효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었다. 결과 분석읕 통해 다방면으로 원인을 찾아보았는데

뭔가 딱 이렇다 할 이유는 없어서 답답 

광고 캠페인으로만 봤을 때 구글은 애널리틱스가 잘 되어 있어서 분석이 용이한 편 ㅎㅎ

소재에 대한 문제도 있겠지만 크게 보고 깊게 들어가면

시기적인 문제, 사회적 현상 (소비 감소, 인구감소 등.. <- 매우 크게 본겁니다!ㅋㅋ), 경쟁사 이슈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심층적 분석이 필요하다

분석..정말...후...... ㅋㅋ

 

애니웨이- 수익율이 자꾸 떨어지는 것 같아 원인을 찾다가 "실적 최대화 캠페인"이라는 항목을 발견했다

 

 

검색 캠페인 (키워드 광고) , 디스플레인 캠페인, 동영상 캠페인, 디스커버리 캠페인 모두 운 영중이었으나

실적 최대화 캠페인은 따로 진행한 적이 없었다.

실적=수익율

흠... 실적 최대화 캠페인이니 수익율을 최대화 시켜줄 수 있는 건가?

 

#실적최대화캠페인

구글 애즈 실적 최대화 캠페인은 하나의 캠페인에 유튜브(YouTube), 디스플레이, 디스커버, Gmail, 지도 등

구글 애즈의 모든 인벤토리에 엑세스하는 새로운 방법

 

말 그대로 한 개의 캠페인 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광고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캠페인에서는 이미지 소재로 광고할 수 있고

동영상 캠페인에서는 동영상 소재로 광고를 할 수 있는데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는 이 모든 것을 한 번에 게재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구글 애즈 실적 최대화 캠페인의 애셋(광고 소재의 집합) 설정창인데

빨간색 네모로 표시된 부분을 보면 광고 소재나 광고 노출 위치가 다양한 것을 볼 수 있다

 

#실적최대화캠페인 특징

1. 스마트 자동입찰을 통해 여러 채널에서 실적을 실시간으로 최적화하여 지정된 전환 목표에 따라

실적을 늘리고 전환수와 가치를 높임

2. 한 개의 캠페인에서 다양한 소재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캠페인 관리의 효울화 및 손쉬운 광고 최적화

3. 우수한 실적을 낼 수 있는 광고, 잠재고객, 광고 소재 조합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

머신러닝 진행, 목표 달성을 위해 소재 및 키워드 자동조합이 이루어짐 

 

소재 세팅을 확인해 보면 애셋 유형이 이미지, 설명, 유튜브 동영상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적도 아주 좋음, 좋음, 낮음으로 나누어지는데 머신러닝을 통해 좋은 소재들끼리 조합 하여 최적화 효율을 높인다

예를 들어 반응이 좋았던 배너 이미지+반응이 좋았던 설명 요렇게 묶어서

더 자주 노출시켜 실적을 늘리고 전환수를 높인다 

다른 캠페인과 마찬가지로 잠재고객 설정이 가능한데 다른 캠페인에서 이미 맞춤 세그먼트를 활용하기 때문에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서는 별도의 위치 설정을 해보기로 했다

(예산이 적기 때문에 실험할 때 한 번에 해야 함 ㅋㅋㅋ)

 

우리 컨텐츠에 관심을 가질만한 잠재고객들은 기본 세팅하고 (예를 들어 의류 업체면 패션 관심군, 교육 업체면 학습 관심군) 위치를 설정하여 해당 위치의 타겟에게만 광고가 노출되도록 세팅을 하였다

앞서 말한 것처럼 예산이 적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 ㅋㅋ  예를 들어 대학생 타겟으로 광고를 한다하면

학교가 없는 송파구, 강동구 지역보다는 홍익대, 연세대, 서강대, 이대가 몰려 있는  마포구나 서대문구 쪽으로

위치 설정을 하는 것이다.

 

위치별로 전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별 관심도에 대한 분석이 용이한다

 

한 달 운영 결과 실제 ROAS는 200% 정도 나왔고 3개월째 운영 중인데

180%~200% 정도는 꾸준히 나오고 있다.

생각한 것 만큼의 어메이징한 수익율율 아니지만 초기 세팅 이외에는 크게 손댈 일 없이

자동화 시스템으로 200% 정도 나오고 있다는 것에 만족하는 중이다

 

그러나 한 가지 단점이라면 소재별 분석이 어렵다는 것이다.

애셋 보고서라는 항목이 있지만 실적을 아주 좋음, 좋음, 낮음 이 정보밖에 확인을 할 수 없으므로

소재에 대한 관심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에는 매우 어렵다

한 마디로 소재별 실적 데이터는 확인할 수 없다는 것! ㅎㅎ

또한 배너+동영상+키워드 등 다양한 항목으로 세팅하지만 배너의 효과가 더 좋은지

동영상의 효과가 더 좋은지도 판단하기 어렵다.

정말 전적으로 구글에 맡겨야 할 뿐 ㅋㅋㅋㅋ

 

혹시 내가 분석 데이터를 못찾는건가 싶어 구글측에 문의해보니 이러한 답을 받았다

 

Q.질문 :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서는 소재별 실적 데이터 확인은 어려운가요?

A. 구글 측 답변 : 실적 최대화 캠페인에서는 캠페인 단위의 데이터만 보고하며, 소재별 실적 데이터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애셋 그룹을 여러 개 생성하여도 그룹별 전환수, 전환율, 노출수 등의 각각 확인은 현재로서는 지원되지 않는

기능이므로 참고해주세요.

 

실적 최대화 캠페인 진행을 하고자 한다면 캠페인 단위의 보고서만 확인할 수 있다는 점 꼭 참고하세요!

 

빨리 보고서 기능 업데이트 해주세욧!!!!!

 

 

 

 

 

 

 

 

 

 

 

 

 

 

 

 

 

 

 

 

 

 

 

 

 

 

 

 

 

 

 

반응형

댓글